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종의노래
2011.11.29 16:56

나무처럼

조회 수 23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물은 동물과 참 다릅니다.

동물이 아주 민첩하고 강한 것 같지만 단순하게 비교해 보아도 동물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강한 존재들입니다.

동물은 가장 오래 사는 거북이 같은 경우에 대략 200년을 산다고 하지요

하지만 식물의 경우에 떡갈나무는 6천년을 살기도 하고 유칼립투스는 8천년 살기도 합니다.

무게로 가장 많이 나가는 동물인 코끼리 경우에 4톤 정도 나갑니다.

하지만 호주에서 키가 150m까지 자란 유칼립투스는 무게가 2200톤까지 나갔다고 합니다.

그럼 왜 이토록 식물은 강한 존재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요?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식물은 하늘과 땅 사이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땅에 깊이 박은 뿌리를 통해 흡수한 땅의 진액을 수관을 거쳐

잎사귀로 끌어올려 대기 중으로 흩어냅니다.

그리고 잎사귀를 통해 대기와 햇빛을 통한 생기를 흡수하여 다시 줄기를 통해

뿌리로 흘려보냅니다.

다시 말해서 식물은 대지와 대기 사이에서 거룩한 연결자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올려보내는 그리고 내려받는 통로의 역활을 하는 것이지요.

식물을 통해 대지는 기름지게 되고 식물을 통해 대기는 수분으로 촉촉하게 됩니다.

식물은 대지와 대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아름다운 중간자인 것입니다.

하지만 그에 비해 동물은 정복자의 자리를 좋아합니다.

식물의 아름다운 섬김, 식물의 중간자적 사역은 우리 예수님의 십자가를 생각하게 만듭니다.

누군가를 세워주는, 누군가를 섬기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0 횃대를 만들었어요 1 무익한 종 2005.06.27 3484
289 사랑에 눈먼 다윗 사랑에 눈먼 내 아버지 무익한 종 2008.09.19 3481
288 양계학교 잘 마쳤습니다. 무익한 종 2010.03.21 3476
287 눈이 내렸습니다 file 무익한 종 2008.01.12 3461
286 주는 선하신 목자 1 무익한 종 2009.03.09 3441
285 아이성 전투 2007-03-08 무익한종 2007.09.27 3400
284 사랑하는 내 딸아 2007-07-03 무익한종 2007.09.27 3395
283 땀 흘리신 여러분! 2 12 무익한 종 2005.08.19 3373
282 멀리 있는 벗에게 1 무익한 종 2006.02.04 3364
281 농촌과 도시(목회와 신학 9월호) 3 무익한 종 2005.08.11 3341
280 신실하신 나의 주님 1 무익한 종 2006.09.13 3335
279 섬기는 리더쉽 1 무익한 종 2005.08.17 3334
278 너희도 가려느냐(10/15) 무익한 종 2003.05.07 3314
277 먹을 것을 주시고 백성을 싸매시리... 1 무익한 종 2005.11.22 3310
276 고추밭에서 2007-06-17 무익한종 2007.09.27 3310
275 함께 노동하며 느끼는 즐거움 무익한 종 2003.05.15 3298
274 불꽃같은 눈동자로 저를.... 무익한 종 2006.06.30 3294
273 비탈진 언덕 위에 사는 사람들 1 file 무익한 종 2006.03.03 3292
272 잘 다녀왔습니다. 2 무익한 종 2005.09.24 3291
271 문들아 들릴지어다(00.6.21) 무익한 종 2003.05.07 32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