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김용수 이은경(동찬 다정)
조회 수 160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대통령 그리고/서독 간호원.광부분들이여.........




박정희 대통령..그리고 당시에..일선근로현장에서 일해오신 선배근로자분들..
그분들의 피와 땀 그리고 눈물이 있었다는 것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한다

5.16혁명 뒤 미국은 혁명세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만약, 그들을 인정한다면 아시아, 또는
다른 나라에도 똑같은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에서였다.
그리고 원조도 중단했다.
당시 미국 대통령은 죤 에프 케네디 대통령이었다
박정희 소장은 케네디를 만나기 위해 태평양을 건너 화이트 하우스까지 갔었지만
끝내 케네디는 박정희를 만나주지 않았다.
호텔에 돌아와 빈손으로 귀국하려고 짐을 싸면서 박정희 소장과 수행원들은 서러워서 한없는 눈물을 흘렸다.
가난한 한국에 돈 빌려줄 나라는 지구상 어디에도 없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마음에 우리와 같이 분단되어
공산당과 대치하고 있는 서독에 돈을 빌리기 위해 대사를 파견해서
미국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1억4000 만 마르크를 빌리는 데 성공했다.
서독에 간호사와 광부가 필요해서 그들을 보내주고 그들의 봉급을 담보로 잡혔다.

고졸 출신 파독 광부 500명을 모집하는 데 4만6천이 몰렸다.
그들 중에는 정규 대학을 나온 학사 출신도 수두룩 했다.
면접 볼 때 손이 고와서 떨어질까 봐 까만 연탄에 손을 비비며 거친 손을 만들어 면접에 합격했다.
서독 항공기가 그들을 태우기 위해 온 김포공항에는 간호사와 광부들의 가족 친척들이 흘리는 눈물로 눈물바다가 되어 있었다.
낯선 땅 서독에 도착한 간호사들은 시골병원에 뿔뿔이 흩어졌다.
말도 통하지 않는 여자 간호사들에게 처음 맡겨진 일은 병들어 죽은 사람의 시신을 닦는 일이었다.
어린 간호사들은 울면서 거즈에 알콜을 묻혀 딱딱하게 굳어버린 시체를 이리저리 굴리며 닦았다.
하루종일 닦고 또 닦았다.
남자 광부들은 지하 1000 미터 이상의 깊은 땅 속에서 그 뜨거운 지열을 받으며 열심히 일 했다.
하루 8시간 일하는 서독 사람들에 비해 열 몇 시간을 그 깊은 지하에서 석탄 캐는 광부 일을 했다.
서독 방송 신문들은 대단한 민족이라며 가난한 한국에서 온 여자 간호사와 남자 광부들에게 찬사를 보냈다.
‘세상에 어떻게 저렇게 일 할 수 있었나 싶어’그들의 별명을 '코리안 엔젤'이라고 붙여 주었다. 몇년 뒤 서독 뤼브케 대통령의 초대로 박 대통령은 서독을 방문하게 되었다.
그 때 우리에게 대통령 전용기는 상상할 수도 없어 미국의 노스웨스트항공사와 계약까지 체결했지만 쿠데타 정부에게 비행기를 빌려 줄 수 없다는 미국 정부의 압력 때문에 그 계약은 일방적으로 취소되었다
그러나 서독 정부는 친절하게도 국빈용 항공기를 우리나라에 보내주었다.
어렵게 서독에 도착한 박 대통령 일행을 거리에 시민들이 플래카드를 들고 뜨겁게 환영해 주었다.
코리안 간호사 만세 ! 코리안 광부 만세 ! 코리안 엔젤 만세 ! 영어를 할 줄 모르는 박 대통령은 창밖을 보며 감격에 겨워 땡큐 ! 땡큐 ! 만을 반복해서 외쳤다.
서독에 도착한 박대통령일행은 뤼브케 대통령과 함께 광부들을 위로 격려하기 위해 탄광에 갔다.
고국의 대통령이 온다는 사실에 그들은 500 여명이 들어 갈 수 있는, 대통령이 연설하기로 되어있는 그 곳에 모여들었다.
박 대통령과 뤼브케 대통령 수행원들이 강당에 들어갔을 때 작업복 입은 광부들의 얼굴은 시커멓게 그을려 있었다.
대통령 연설 앞에 우리나라 애국가가 흘러 나왔을 때 이들은 목이 메어 애국가를 제대로 부를 수조차 없었다.
대통령이 연설을 했다.
단지 나라가 가난하다는 이유로 이역만리 타국에 와서 땅속 1000 미터도 더되는 그곳에서 얼굴이 시커멓게 그을려 가며 힘든 일하고 있는 제 나라 광부들을 보니 목이 메어 말이 잘 나오지 않았다
‘우리 열심히 일 합시다. 후손들을 위해서 열심히 일 합시다.
열심히 일 합시다” 눈물에 잠긴 목소리로 박 대통령은 계속 열심히 일하자는 이 말을 반복했다.
가난한 나라 사람이기 때문에 이역만리 타국 땅 수천미터 지하에 내려가 힘들게 고생하는 남자 광부들과 굳어버린 이방인의 시체를 닦으며 힘든 병원일 하고 있는 어린 여자 간호사들. 그리고 고국에서 배곪고 있는 가난한 내 나라 국민들이 생각나서 더 이상 참지 못해 그는 눈물을 터트렸다.
대통령이란 귀한 신분도 잊은 채 소리내어 눈물 흘리고 자리하고 있던 광부들은 모두 함께 울면서 육영수 여사 앞으로 몰려나갔다. 어머니~ ! 어머니~ !하며 육 여사의 옷을 잡고 울었고 그분의 옷이 찢어 질 정도로 잡고 늘어졌다.
육 여사도 함께 울면서 내 자식같이 한명 한명 껴안아 주며 “조금만 참으세요”라고 위로하고 있었다
광부들은 뤼브케 대통령 앞에 큰절을 하며 울면서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한국을 도와 주세요.
우리 대통령님을 도와 주세요 우리 모두 열심히 일 하겠습니다. 무슨 일이든 하겠습니다”를 수없이 반복했다.
뤼브케 대통령도 울고 있었다. 연설이 끝나고 강당에서 나오자 미쳐 그곳에 들어가지 못한 여러 광부들이 떠나는 박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를 붙잡고 “우릴 두고 어디가세요.
고향에 가고 싶어요. 부모님이 보고싶어요”하며 떠나는 박대통령과 육 여사를 놓아 줄 지를 몰랐다.
호텔로 돌아가는 차에 올라 탄 박대통령은 계속 눈물을 흘렸다. 옆에 앉은 뤼브케 대통령은 손수건을 직접 주며 "우리가 도와 주겠습니다.
서독 국민들이 도와 주겠습니다" 라고 힘주어 말했다.
서독 국회에서 연설하는 자리에서 박대통령은 “돈 좀 빌려주세요. 한국에 돈 좀 빌려주세요. 여러분들의 나라처럼 한국은 공산주의와 싸우고 있습니다.
한국이 공산주의자들과 대결하여 이기려면 분명 경제를 일으켜야 합니다. 그 돈은 꼭 갚겠습니다. 저는 거짓말 할 줄 모릅니다.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절대로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을 이길 수 있도록 돈 좀 빌려주세요”를 반복해서 말했다. 당시 한국은 자원도 돈도 없는 세계에서 가장 못사는 나라였다.
유엔에 등록된 나라 수는 120여 개국, 필리핀 국민소득 170여불, 태국 220 여불 등.
한국은 76불이었다.
우리 밑에는 딸랑 인도만 있었다.
세계 120여 개국 나라 중에 인도 다음으로 못 사는 나라 가 바로 우리나라(대한민국)였다.
1964년 국민소득 100달러, 100달러를 위해 단군 할아버지부터 4600년이라는 긴 세월이 걸렸다.
우리는 머리카락을 잘라다 외국에 팔았다.
동네마다 엿장수를 동원하며 “머리카락 파세요. 파세요”하며 사람 머리카락을 모았다.
시골에 나이 드신 분들은 서울간 아들놈 학비 보태주려 머리카락을 잘랐고, 먹고 살 쌀사기 위해 머리카락을 잘랐다.
그래서 한국의 가발산업은 발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싸구려 플라스틱으로 예쁜 꽃을 만들어 외국에 팔았다.
곰 인형을 만들어 외국에 팔았다. 전국에 쥐잡기 운동을 벌였다.
쥐털로 일명 코리안 밍크를 만들어 외국에 팔았다. 돈 되는 것은 무엇이던지 다 만들어 외국에 팔았다
이렇게 저렇게 해서 1965년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했다. 세계가 놀랐다. “저 거지들이 1억달러를 수출 해?”하며 ‘한강의 기적’이라며 전 세계가 경이적인 눈빛으로 우리를 바라봤다.
조국 근대화의 점화는 서독에 파견된 간호사들과 광부들이었다.
박 대통령이 왜 그토록 경제발전에 집착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그는 '큰 아버지'였다. 적어도 지금 우리세대와 더 나아가 앞으로 태어날 후손들을 생각할 줄 아는 책임감 있는 큰 아버지였다.
우리가 올림픽을 개최하고 월드컵을 개최하고 세계가 이 만큼이라도 한국을 무시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든 이유는 박대통령과 당시 세대들이 힘을 합쳐 이방인의 시체를 닦으며, 수천미터 지하에서 땀을 흘리며, 저 열사의 중동에서 일하고 일한 지난 세대들의 피와 땀 그리고 눈물이었다는 사실을 지금의 젊은 세대들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고 박정희 대통령 각하께서는 허구한 날 반대만 일삼고 자유 대한민국의 전복을 획책하는 빨간 무리들과 싸우며 이 나라 경제건설을 위해 몸바쳐 일했다.
박 대통령과 땀흘려 일한 저분들이 없었다면 분명 오늘은 없다.
이나라국정을 논하시고계신 고귀하신국회위원 그대들이여 !
툭하면 몇억-몇백억을 꿀꺽 삼켜버리시는 그대여 이제부터라도 정말 국가와 민족을 위해 봉사할수있는   ........국회의원 300명필요없고 100명정도로 줄여서 모셨으면 하는바램입니다.


우연히 이글을 보게 되었습니다가슴속에 뭔가 뭉클함이 생기는것 같아 저희들도같이 느끼려고 올려 봅니다..
힘들때 일수록 누군가의 위로가 필요하듯
저에게는 기억에 조차없는 일들이지만 한번쯤은 생각해 봄직한 글인것 같습니다.
누가 누구를 탓하기 이전에 나부터도 잘 하고있는지되짚어 볼만한 것이었고 우리세대에 다음세대까지 걱정하며살아가고 있는 지를 한번쯤 반성하며국민의 아픔까지도 같이 해줄수있는 그분이 지금은 존경스럽기만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공지 여기는 김용수,이은경 가족 게시판입니다. 7 보나콤 11974 2003.07.19
340 안녕하세요 2 유민호 1618 2004.02.14
339 동찬친가 가족들 주소 4 김용수 1610 2003.10.23
338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1 16 김근수 1610 2009.04.14
337 아버지 생신 - 부산 누님 댁에서 1 보나콤 1604 2005.11.28
» 박대통령과 서독 간호원/광부이야기 근수 1603 2004.02.12
335 민지가 6월 30일(토) 결혼식을 올립니다... 김근수 1602 2007.04.24
334 누구시더라^^ file 900 1601 2008.05.24
333 동찬다정 외갓집에서 file 보나콤 1596 2005.08.06
332 경주에서 - 찰스네 1 file 1590 2007.07.19
331 제가 표지 인물이 되었네요^^ 1 규백형제 1587 2005.11.15
330 캐나다에서 file bona 1581 2011.10.25
329 [re] 오늘은 하마오 학교 방문 1 3 Samsoo 1573 2004.02.19
328 충북 단양엘 다녀와서... 4 9 예찬 1559 2004.01.20
327 함구미 황금교회 - 동찬 외할머니 보나콤 1556 2005.02.10
326 민지와 찰스네 1 file 1556 2007.07.19
325 [re] 유림이네 아들낳았어요. Samsoo, Canada 1554 2003.07.24
324 새총 file 1553 2007.05.07
323 동찬 피아노 - 캉캉, 밤의 연가 1 보나콤 1552 2004.12.25
322 설날 서울에서 6 file 1551 2007.02.26
321 은경아? 1 성경언니 1548 2004.04.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