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영농일지
2004.04.15 20:41

자연농업 제 2 강

조회 수 3218 추천 수 6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선입견은 낭패를 겪게 한다. - 볼펜모양의 폭탄
# 볼펜의 길이 - 판단 기준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농사도 마찬가지다. 40년 농사를 한다면 절대로 같은 환경이 아니고 같은 종자가 아니므로 절대기준을 정해놓고 농사를 지으면 바른 농사를 지을 수 없다.
- 10년 전의 비배관리법으로 지금도 농사를 짓는다면 안된다. 참고자료는 될 수 있겠지만...

벼농사를 한 번 생각해 보라.
- 벼는 평균 96cm 자라는데 건강한 벼라면 뿌리도 그 키만큼 내려간다. 그런데 로터르를 아무리 깊이 심경한다 하더라도 20~30cm밖에 못갈아준다. 이렇게 되면 로터리친 그 아래부분에는 석회나 마그네슘 등으로 흙이 딱딱해지는 경반층이 형성되어 뿌리가 뚫고 내려갈 수 없게 된다. 결국 뿌리는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옆으로, 비료가 있는 위로 올라오게 되고 바람불면 도복하고 만다.
- 생장점은 ① 신진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② 세포 분열이 왕성하며 ③ 환경 적응능력이 가장 예민하다. 그러므로 작물 스스로 힘을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로터리는 식물이 해야 할 일을 사람이 대신 해주는 것으로 작물을 허약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 콩나물 물을 많이 주면 뿌리가 하나지만 적게주면 잔뿌리가 많이 난다. 살려고 뿌리는 건강하고, 생존력을 가지면서 더 깊이 뿌리를 내릿 수 있게 된다.
- 모유 먹이면 빠는 순간에 진공상태가 되므로 씩씩거려서 폐활량이 늘어나게 되고 손짓발짓하면서 건강하게 자라게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영양분만 생각해서 우유먹이려고 한다.
- 밑거름이 많으면 자양분을 소화시키지 않고 거름부터 먹게된다. 이렇게 되면 작물은 게을러지고 의존적이게 되며 편식현상을 가지게 된다.
- 사물을 마음의 눈으로 보아야 한다. 기러기 날아가는데 호수에 바람이 불면 호수에는 기러기 보이지 않게 된다.
- 닭도 처음에 현미와 대나무 잎을 먹이게 되면 맹장의 길이가 기존 닭보다 7배나 길어지면서 생존력이 강화된다.
- 기존관념을 버리고 강의를 들어라.
零位哲學 - 모든 기존관념을 내려놓고 0의 관점에서 사물을 보고 자신을 보라.

영농일지

일기와 같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 대추 순 지르기 file bona 2016.05.21 979
15 감자캐기 file bona 2016.07.04 823
14 하우스 땅만들기 file bona 2015.02.28 743
13 고추고랑에 청보리와 호밀 파종 file bona 2016.05.02 690
12 논둑 작업 file bona 2016.04.25 645
11 친환경 비료(트리플) 살포 file bona 2016.04.27 608
10 대추밭 2차 풀베기 file bona 2016.06.20 584
9 고추심는 날 file bona 2016.04.25 563
8 수리중인 트랙터와 이앙기 file bona 2016.05.11 424
7 감자순 올라오도록 도와주기 file bona 2016.05.02 363
6 우렁이 투입 file bona 2016.05.19 349
5 대추밭 밸브설치 file bona 2016.05.24 339
4 자라고있는 왕 토마토 file bona 2016.05.21 312
3 이앙기 청소하기 file bona 2016.05.21 308
2 모내기 file bona 2016.05.10 196
1 대추밭 1차 풀베기 작업 file bona 2016.05.10 1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