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영농일지
2004.04.15 21:12

자연농업 제 3 강

조회 수 3672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포만감이 지속되면 소화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비료는 부족한 듯 주어야 한다.
- 자연 속에 인간이 존재하며 인간보다 자연만물이 먼저 존재했다. - 겸손해야 한다.
- 대부분의 농작물은 수분이 90%이상이다.
- 농사는 물장사다. 물은 어떻게, 어떤 물은 주느냐가 결국 관건이다. 화학비료물보다 대자연의 정기가 담기 물을 주면 좋지 않겠는가? 가장 좋은 정화수는 과즙이다.

# 쌀 = (탄소 + 산소 + 수소) * 광열 : 모든 작물이 마찬가지다.
그런데 잘 보면 원 재료들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자연에 있는 것들이며 모양이 없는 것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만드는 것이다.

고기 = (탄소 + 산소 + 수소 + 질소) * 광열
질소를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라. 공기중의 79 ~ 80%가 유기질소다.
- 콩과식물을 심으면 질소가 땅에 공급된다.
- 번개가 치면 주위 온도가 올라가고 대류 현상이 일어나서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데 그때 주변 공기가 빈 공간으로 들어오면서 충돌(진동)하면서 천둥이 치는데 이때 공기중의 질소가 파괴되어 작물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된다.

농사의 자재는 주변에 정말 많이 있다. 걱정하지 말라.
- 작물이 잘 흡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른 농사다. (1회 공복, 1회 만복)
- 사람이 지나치게 간섭하면 작물이 게을러지고 허약해져서 병이 생긴다.

# 1PPM = 1/1000만 (cm3, g) ; 마이크로 ; 인간세포가 60개조로 분석된다.
   1PPB = 1/1000PPM ; 나노그램 ; 100개조로 분석된다.
   1PPT = 1/1000PPB ; 피코그램
   1PPQ = 1/1000PPT ; 펨토그램
   의학이나 영양학은 PPM 시대의 분석법으로 인간이나 사물을 이해한다. 그러다 보니 PPT 시대의 분류를 따라오지 못한다.

# 짐승은 아프면 안먹는다. 우리에서 끌어내면 흙을 먹는다. (인간은 아파도 먹는다.) 과학으로 납득을 못하는 일인데 짐승은 마음의 명령을 따라 흙을 먹는다. 흙속에 있는 미발결 생장소(UGF)를 습취하는 것이다.

- 우리 몸 안에는 미생물이 100조개 있다. 그렇다면 우리 몸은 총 20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몸의 건강은 100조개의 미생물들이 지켜준다. 그러므로 음식을 먹을 때도 미생물에 맞추어서 먹어야 한다.
- 농사도 미생물에 맞추어서 거름을 주어야 한다. 화학비료는 영양분이 아니다.
- 음식을 다르게 먹으면 혹은 물을 갈아 먹으면 설사한다. 위장에 있는 미생물들이 익숙하지 않은 음식 탓이다.
- 소화제의 주 제료 : 유산균과 효모균이다. ; 김치국물에 많다.

자연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3기(三氣) - 안보이고 돈으로 사는 것이 아니다.
   - 열기(熱氣) : 태양열
   - 공기(空氣) : 산소, 수소, 바람
   - 수기(水氣) : 수증기, 이슬

2열(二熱)
   - 천열(天熱) : 양
   - 지열(地熱) : 음

4체(四體)
   - 천체(天體)
   - 지체(地體)
   - 기체(氣體)
   - 물체(物體) : 농사는 물체를 만드는 것이다. 3기 2열 4체의 조화로 물체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3계(三界)
   - 식물계
   - 동물계
   - 균계

# 모든 자연만물은 이와 같은 3기 2열 4체 3계로 되어 있다.

# 농사를 지으면서 어려운 점부터 대안을 모색해 보자.

1. 잡초 : 작물과 경쟁시키기 때문에 나쁘다고 말한다.
- 제초제로 잡아 죽이는데, 제초가 아니라 살초제다. 이렇게 무서운 것을 농약이라고 써서 최면을 걸고 있다. 농약은 밭에서 즐거워 하는 것이라는 뜻이니 말이 안되는 것이다.

# 1농가가 40가적을 먹여 살릴 수 있다. 중국 값싼 농산물이 들어와도 질을 생각해서 우리것을 선택할 사람들이 20%, 800만명이라고 한다.

- 그렇다면 첫째로 잡초가 나지 않게 하라 : 피복하라.
- 호밀을 심으면 맥근산이 나와서 종자발아를 억제한다.
  - 300평에 호밀을 2.8kg(종자를 받으려면 25~30kg) 삼어주면 확실히 제초가 된다.
  - 비닐하우스 : 휴지기 때 볍씨를 20kg 정도 뿌리면 제초와 더불어 유기질 비료를 제공하게 됨
  - 호밀이나 벼를 먼저 쓰러뜨린 후에 관리기로 2회 골을 파서 그 흙으로 쓰러진 벼, 호밀을 덮어라.

# 미생물은 7음 3양에서 자란다. 버섯도 마찬가지다.
   - 호기성 미생물(양)은 지표면에 생존하는데 95%가 5Cm 지표 내에서 생존한다.
   - 중기성 미생물
   - 혐기성 미생물(음)은 땅 속에서 살아간다.

2. 병충해
- 거세미는 잘라먹는 벌레, 계란껍질로 잡아라.
- 나비, 나방은 유인제 ; 300평에 5~6개 설치해서 잡아라.
- 딱정벌레, 노린제(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 형광등 유인기로 잡아라(경유와 물 1/100)
- 달팽이 : 막걸리로 잡아라

# 오이는 300평에서 10t 생산하는데 자연농업에서는 30t까지 생산, 피망은 4-5톤 생산하는데 최고 20톤까지 생산한다.
- 미술가는 그림에 자신의 혼을 집어 넣은다. ( 농부는 작물에 자신의 혼을 불어 넣어야 한다.

# 벼
조생종은 14잎에, 만생종은 15잎에 낱알이 맺힌다. 그런데 벼를 물에 담그면 종자는 자리를 잡으려고 '당화효소'를 내뿜는다. 냄새가 시큼하고 퀘퀘한 데 이것을 먹으려고 미생물들이 모여든다. 그런데 인간들은 이 물을 버린다.

# 종자의 겉껍질은 0도에 마른다. 바로 그 속에 있는 껍질은 -1도, 그 다음은 -5도, 그 다음은 -10도, 그 다음은 -15도, 이렇게 그 속에 있는 종자의 생장점을 감싸고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 물의 입자는 1/2000 초 속도로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한다.
- 바위 틈에서 나오는 물은 입자가 더 적어서 소화 흡수가 매우 빠르다.
- 물마시면 배가 그득하고 꿀렁거리는데 막걸리는 꿀렁거리지 않는다. 흡수가 빠르기 때문이다.
- 식물에 물을 줄 때는 가급적이면 입자를 적게 해서 주어야 흡수가 빠르다.

영농일지

일기와 같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 감자순 올라오도록 도와주기 file bona 2016.05.02 363
15 대추밭 1차 풀베기 작업 file bona 2016.05.10 193
14 모내기 file bona 2016.05.10 196
13 수리중인 트랙터와 이앙기 file bona 2016.05.11 424
12 우렁이 투입 file bona 2016.05.19 349
11 고추 순 지르기 file bona 2016.05.21 1830
10 자라고있는 왕 토마토 file bona 2016.05.21 312
9 대추 순 지르기 file bona 2016.05.21 979
8 이앙기 청소하기 file bona 2016.05.21 308
7 대추밭 밸브설치 file bona 2016.05.24 339
6 V자망 고추줄매기(고추 비가림 재배) file bona 2016.05.25 4298
5 V자망 고추줄매기 마무리 file bona 2016.06.20 1264
4 대추밭 2차 풀베기 file bona 2016.06.20 584
3 돼지감자 삶은 물 file bona 2016.06.20 1614
2 난황유 만들기 file bona 2016.07.04 1453
1 감자캐기 file bona 2016.07.04 8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