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영농일지
2007.02.13 20:00

벼수확증대를 향해

조회 수 7558 추천 수 5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가 매일 먹고 있는 쌀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는지 아는가? 정답은 바로, 벼의 꽃눈이 성장하는 것이다. 벼의 꽃눈이 많이 만들어져 확실히 여물면 벼의 수확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 꽃눈의 형성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 식물호르몬의 하나인 사이토카이닌(Cytokinin)이다.

사이토카이닌은 잎의 노화 억제, 광합성의 활성화, 줄기 끝에 피는 싹의 제어나 벼의 곡물수의 결정 등과 같이 식물의 성장과 작물의 수량에 있어 지극히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식물호르몬이다. 식물호르몬은 매우 낮은 농도로 그 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통상은 선구체로 합성된 후 활성화의 단계를 거쳐 기능한다. 지금까지 사이토카이닌 선구체의 합성에 관련되는 유전자는 알고 있었지만, 제일 중요한 활성화 단계에 작용하는 유전자의 정체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일본 이과학연구소의 식물 과학 연구 센터 생산 제어 연구팀과 도쿄대학 대학원 농학 생명과학 연구과의 연구 그룹은 이삭이나 꽃의 형성이 이상하게 되는 벼의 log 변이체의 원인 유전자 LOG가 사이토카이닌의 활성화 반응을 담당하는 효소를 코드 하는 것을 밝혀냈다.

즉, 이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LOG 단백질이 사이토카이닌 뉴클레오티드로부터 당인산을 제거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경로에서 활성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밝혔다. LOG 유전자는 분열 조직이 한정된 세포군에서만 일하고 있는 것으로, 식물 중에서 활성형 사이토카이닌의 양이 교묘하게 조절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OG 유전자를 이용하면 식물체내의 사이토카이닌 활성을 직접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향후, 다양한 작물에서 LOG 유전자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바꿈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통해 지구 규모의 인구증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제 2의 초록의 혁명」이 또 한걸음 전진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 성과는 영국의 과학잡지 「Nature」(2월 8일자)에 게재되었다.


영농일지

일기와 같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오늘 한 일 보나콤 2005.04.30 3241
75 인산만들기 보나콤 2005.05.03 3242
74 토착미생물 액비 만들기 보나콤 2005.05.03 4452
73 모종에 자연농업 자재로 물 급여 보나콤 2005.05.03 3230
72 분봉준비 보나콤 2005.05.09 3322
71 고추심기 보나콤 2005.05.09 3509
70 섞어 뛰움비만들기 양동현 2005.05.15 3938
69 콩 교대기 양동현 2005.05.15 3543
68 2동 양계장 자재 구입(5월 둘째 주간) 무익한 종 2005.05.15 4374
67 EU "닭 복지 위해 양계장 넓혀라" 무익한 종 2005.06.02 3534
66 진딧물 - 처방법 보나콤 2005.06.03 4510
65 천연 살충제 제조법 양동현 2005.06.14 16189
64 기상청이 내다본 올해 장마시즌 무익한 종 2005.06.16 9890
63 자리공 2005.06.22 5190
62 선교부 2005.07.17 3350
61 청년회 file 2005.10.20 3601
60 목초액의 농축산업 이용 양동현 2005.11.19 8691
59 2006년 고로쇠 2006.02.23 3604
58 천연비료 만드는 법 2006.04.02 8937
57 2006년 농사규모 2006.04.07 36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