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종의노래
조회 수 3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 지어 날아가는 기러기들은 제 각기 날개 짓을 하면서 무리지어 날아간다.
이때 기러기들의 비행을 도와주는 융기 현상이 일아나게 되는데,
V자형 무리에게는 기러기가 혼자서 날 때보다 70% 정도의 비행 효율을 더 얻게 된다.
-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지향과 감각을 가진 사람들은 보통 어떤 일을 보다
빠르고 쉽게 해결하는 방법을 얻게 되는데, 이는항상 다른 사람에 대한 믿음을
갖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어떤 기러기가 무리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면, 그는 갑자기 홀로 날갯짓 하기에
힘든 저항력과 무리가 끄는 힘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그리고는 즉시, 무리가
이끄는 강력한 힘에 의해 무리의 앞으로 쉽게 나아갈 수 있게 된다.
- 우리가 만일 기러기와 같은 감각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자기가 원하는 곳을
지향하고 있는 사람들 무리 속에 함께 있을 것이다.

떼 지음을 선도하던 기러기가 피곤해지면, 그는 무리의 뒷부분으로 자리바꿈을
하고 다른 기러기가 그 자리를 맡게 된다.
- 이것은 기러기가 무리 속에서 그러하듯 우리도 힘든 짐은 돌려가면서
담당하고, 지도력은 다른 이들과 나눠야 함을 의미한다.

무리의 뒷부분에 있는 기러기들은 규칙적으로 울음소리를 내는데, 이 울음소리를
듣고 앞부분의 기러기들은 비행속도를 조정하고 유지한다.
- 우리는 무리의 뒷부분에서 들려오는 울음소리가 어떤 일에 장애되는 소리가
아니라 우리 무리에 용기를 주는 것임을 확신해야 한다.

어떤 기러기가 병을 얻었거나 상처를 입었거나 하여 추락하게 되면, 다른 두 마리의
기러기가 무리에서 이탈하여 그를 보호하고 돕기 위해 상처입은 기러기를 따라간다.
두 마리의 기러기는 상처당한 기러기가 완쾌되어 다시 비행할 수 있게 되거나 혹은
죽거나 할 때까지 그와 함께 머문 후 그들의 행동을 결정한다.
그들은 자신의 무리들을 따라 잡거나 혹은 다른 무리에 합류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0 말탄 목동 30 file 무익한종 2012.09.24 1939
309 산을 닮아가는 나무 50 무익한종 2013.01.27 1944
308 나무를 심고 2 무익한종 2012.05.04 1975
307 그리스도 안에서의 회의 무익한 종 2009.10.16 2051
306 고철들을 정리하며 무익한 종 2009.10.20 2072
305 화재와 지진 무익한 종 2011.03.13 2083
304 오촌장의 재미난 전도 무익한 종 2011.05.26 2098
303 양계세미나 4 무익한 종 2011.08.15 2102
302 3월의 노래 무익한 종 2011.03.31 2114
301 팔월 하순입니다. 무익한 종 2009.08.18 2116
300 두 번째 주님의 방문 43 무익한종 2013.04.22 2121
299 친구들을 만나 무익한 종 2009.06.21 2135
298 주님의 부르심 이후 2 36 무익한종 2013.04.14 2136
297 늦게 그러나 빨리 무익한 종 2011.05.26 2148
296 신발과 비타민 무익한 종 2011.04.21 2160
295 공동체를 통한 농촌 선교 무익한 종 2003.07.22 2166
294 영락교회 청년들을 만난 후에 1 무익한 종 2011.05.30 2182
293 2월의 노래 file 무익한 종 2011.02.06 2182
292 7월의 노래 file 무익한 종 2011.07.21 2189
291 나는 오직 그분의 손에 이끌리어 무익한 종 2009.09.25 219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