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종의노래
2011.11.29 16:56

나무처럼

조회 수 23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물은 동물과 참 다릅니다.

동물이 아주 민첩하고 강한 것 같지만 단순하게 비교해 보아도 동물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강한 존재들입니다.

동물은 가장 오래 사는 거북이 같은 경우에 대략 200년을 산다고 하지요

하지만 식물의 경우에 떡갈나무는 6천년을 살기도 하고 유칼립투스는 8천년 살기도 합니다.

무게로 가장 많이 나가는 동물인 코끼리 경우에 4톤 정도 나갑니다.

하지만 호주에서 키가 150m까지 자란 유칼립투스는 무게가 2200톤까지 나갔다고 합니다.

그럼 왜 이토록 식물은 강한 존재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요?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식물은 하늘과 땅 사이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땅에 깊이 박은 뿌리를 통해 흡수한 땅의 진액을 수관을 거쳐

잎사귀로 끌어올려 대기 중으로 흩어냅니다.

그리고 잎사귀를 통해 대기와 햇빛을 통한 생기를 흡수하여 다시 줄기를 통해

뿌리로 흘려보냅니다.

다시 말해서 식물은 대지와 대기 사이에서 거룩한 연결자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올려보내는 그리고 내려받는 통로의 역활을 하는 것이지요.

식물을 통해 대지는 기름지게 되고 식물을 통해 대기는 수분으로 촉촉하게 됩니다.

식물은 대지와 대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아름다운 중간자인 것입니다.

하지만 그에 비해 동물은 정복자의 자리를 좋아합니다.

식물의 아름다운 섬김, 식물의 중간자적 사역은 우리 예수님의 십자가를 생각하게 만듭니다.

누군가를 세워주는, 누군가를 섬기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0 가을바람 떡갈나무 2003.07.17 2730
309 갈릴리 사람 예수 무익한 종 2003.06.30 2996
308 개구리 울음 소리 2007-02-27 무익한종 2007.09.27 2826
307 개들의 삼각관계 무익한 종 2004.09.25 2899
306 건축 현장에서 1 무익한 종 2010.07.10 3057
305 건축을 돕는 손길들 2006-11-20 무익한종 2007.09.27 2704
304 건축을 시작하며 1 4 무익한 종 2006.03.10 4336
303 겨울이 긴 이유 무익한 종 2010.01.27 2809
302 고신농어촌 목회자 세미나 강의안입니다. 46 무익한종 2013.01.30 1892
301 고장난 트랙터 무익한 종 2003.05.02 4587
300 고철들을 정리하며 무익한 종 2009.10.20 2072
299 고추 심습니다. 1 무익한 종 2004.05.07 2891
298 고추를 땄어요 2 무익한 종 2003.08.15 2587
297 고추밭 약주기 1 무익한 종 2003.07.24 3173
296 고추밭 풀들을 없애고 2 무익한 종 2003.07.29 2444
295 고추밭에서 2007-06-17 무익한종 2007.09.27 3308
294 고향을 떠나며... (02.10.4) 무익한 종 2003.05.07 2361
293 고후4:1-12 새벽묵상 1 무익한 종 2004.07.07 2782
292 곰취 하우스 2 무익한 종 2011.07.03 2342
291 공동노동 무익한 종 2005.06.23 43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