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nacom.or.kr/xe/files/attach/images/162551/b643c655310c8caf02909277b3d24e77.jpg
한국내지선교

15

2006-Aug

유기농업! 가능한가?

작성자: 무익한 종 IP ADRESS: *.81.211.134 조회 수: 5427

많은 사람들이 유기농업에 대해 그 의미는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현실적으로 생산성에 대해서는 우려한다. 그러나 유기농업 종사자들은 생산성의 증가는 땅에 정성을 얼마나 쏟는가에 달려있다고 말한다. 화학영농은 오히려 땅의 생산성을 떨어뜨려 이제 화학비료와 농약을 투여한 만큼 점점 생산성은 떨어진다는 것이다.


1. 유기질 비료는 땅의 생명력을 높여 준다.

땅의 생명력을 도와주는 노력, 즉 유기질비료의 투여는 토지생산성을 높여주게 된다. 85년도 고추 다수확농가로 선정된 농가는 충북 제천에서 유기농업을 하는 농민이었다. 유기농업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은 유기영농을 시작한 지 3∼5년으로 땅이 지력을 회복하기 전 병충해의 피해로 수확량이 적은 경우와 땅에 유기물질을 투여하는 데 인색했던 경우이다. 83년에 미국의 상·하 양우너을 통과한 미국농업생산성향상법안을 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유기농업이란, 화학비료, 살균·살충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홀몬제), 가축사료첨가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로 줄이며 농사부산물이나 가축의 분뇨, 자연의 광석분멸(이광석, 맥반석, 제오라이트, 질석분말 등을 칭함.) 등을 최대한 활용하는 영농법을 말한다.'라고 되어 있다. 유기영농은 땅을 비옥하게 하기 위해 유기물질을 충분히 넣으므로 토지생산성을 높이는 것, 또는 생산성의 증가와 생태계의 보존이라는 양측면이 고려된 농법인 것이다.


2.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병충해는 어떻게 견디나?

건강한 사람이 병에 강하듯 먼저 땅이 비옥해지면 병충해의 피해도 덜 받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기농업이라고 하면 자연농법과 혼돈한다. 유기농법은 병충해에 무방비로 농약 사용만 금하는 것이 아니고 지혜롭고 과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몇가지 살펴 보면, 우선 천적을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있고,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익충 역시 살아남게 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벼멸구를 없애기 위해 살충제를 살포하면 멸구는 오히려 날아 도망가는데 식충인 거미는 죽어버린다. 농약의 독성이 약해진 뒤 멸구가 다시 번성을 하니 오히려 익충인 거미만 죽이는 결과를 갖고 온다. 뿐만 아니라 익충과 해충을 길러서 병충해에 대비해야 한다. 또 기피식물을 이용하여 해충들의 접근이나 번식을 막는다. 박하, 금련화, 쇄기풀 등은 개미, 진딧물, 좀벌레 등이 싫어하는 식물들로 이들을 논이나 밭둑의 위아래에 심어 병충해를 예방한다. 생선에다 효소제와 마그네슘 처리를 하여 살포하는 방법도 있다. 충북 음성에서는 멸구박멸을 위해 논에다 오리를 가둬 놓았다. 그랬더니 오리가 멸구와 해충을 잡아먹고 넓은 오리발로 제초역할을 할 뿐더러 그 분뇨는 거름으로 쓰여져서 일석삼조의 효과를 보고 있다. 이와 같이 병충해에 대한 피해도 지력의 회복과 더불어 과학적이고 지혜로운 대응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곧 유기농업은 화학비료대신 유기질비료를 충분히 주어 땅의 생명력을 왕성하게 하여 토지생산성을 높이며 자연의 조화 속에 병충해의 피해를 줄이는 과학적이고 생산적인 영농인 것이다.

생태계도 보존하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는 유기농업이 확산되지 않았던 이유는 그간 자연에 대한 그릇된 인식으로 유기농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결여, 저농산물가격정책으로 인해 생산가를 보장받지 못하는 우리의 농업정책에서 상대적으로 생산가가 더 비싼 유기농업의 경제적 부담감, 노동력의 부족, 모양과 크기 혹은 빛깔로 농산물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확산되지 못했다.

이제 자연생태계의 문제와 삶의 질의 문제가 지적되면서 세계적으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가고 있는데, 미국은 1983년에 농업생산성향상법안을 통과시켜 유기농업 육성정책을 펴고 있으며 구(舊)서독, 일본 등에서도 유기농업이 확산되고 있다.


3. 유기농업의 과제

우리나라는 그동안 정농회, 유기자연농업연구회, 신용협동조합, 가톨릭농민회 등 유기농업에 대한 신념을 가진 생산자단체와 농약중독을 경헙한 소수의 생산자에 의해 유기농업이 지속되어 왔다. 그러므로 정책적인 지원은 물론 없고 소비자의 인식도 없는 상황 속에서 오로지 유기농업에 대한 신념-자연과 함께 인간적인 삶을 지향하는-으로 헌신적으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며 지탱해왔다. 80년대 후반부터 환경과 공해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고양과 함께 안양생협, 한살림, 한국여성민우회 등의 단체들이 유기농산물 직거래사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소비자와 생산자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직거래사업을 펼친 것이 약 8∼9년 되는 바 그간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개별적 차우너에서 특화된 상황 속에서 헌신적으로 이 사업에 임해 오고 있다. 특히 생산자는 생존권이 걸린 아픔을 갖고.

이제 유기농산물이 일반성을 갖고 발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과제들이 있다. 먼저 정책적인 면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우선 우리나라 농업정책이 환경오염을 줄이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며 농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기농업을 지향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

둘째, 유기질 비료의 생산 및 공급방안, 유기농업의 기술개발과 이에 대한 교육지원, 영농자금지원 등의 생산에 관련된 구체적 지원이 따라야 한다.

셋째, 소비자와의 관계에서 질에 대한 신뢰를 획득할 수 있게끔 품질기준을 설정, 품질보증제도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금은 유통이 개별화되어 있는 바 합리적 유통구조의 정착이 시급하다.

다섯째, 우리 농산물을 이용하는 식품가공상업의 개발 및 誦아, 육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제들을 정비하여 생산농민이 가공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문턱을 낮춰야 한다.

여섯째, 유기농산물 가격에 대하여 생산가의 과학적인 산출이 필요하다. 지금은 대충 시장가격과 비교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바 과학적인 생산가가 산출되어야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일곱째, 소비자 확산을 위해 유기농업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널리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여 유기농업의 생산성과 이에 따른 경제성을 입증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소비자, 생산자, 정부 모두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이와 함께 더욱 중요한 것은 생산자도 소비자도 질좋은 농산물 수확 자체를 목적으로 유기농업을 선호한다면 이 또한 다른 의미에서 인간의 이기적 욕망을 위해 땅을 수탈하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인간이 땅과 함께 자연과 함께 조화롭게 살아간가는 입장에서 자연과 삶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유기농업을 선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 농약과 환경 호르몬 2 무익한 종 2006-08-15 5459
50 농약과 환경 호르몬 1 무익한 종 2006-08-15 5494
» 유기농업! 가능한가? 무익한 종 2006-08-15 5427
48 유기농업을 하는 이유 무익한 종 2006-08-15 4890
47 Permaculture 무익한 종 2006-07-28 4988
46 지렁이를 이용해서 음식물쓰레기 퇴비화하는 방법 무익한 종 2006-07-21 13204
45 지렁이 사육상자 무익한 종 2006-07-20 10207
44 中 "농촌 살려야 경제가 산다" 무익한 종 2006-07-17 4882
43 중국의 “農村都市化” 추진 현황과 문제점 무익한 종 2006-07-17 4312
42 중국의 농촌문제 무익한 종 2006-07-17 5766
41 세계인구 절반 하루 2달러로 생계 무익한 종 2005-08-24 5254
40 탈북자 부부의 이야기 무익한 종 2005-08-03 5200
39 버섯재배.. 희망이 보입니다. 조성근 2003-05-04 4897
38 2) 자연농업의 원리 무익한 종 2003-05-24 4543
37 자연농업의 기초 무익한 종 2003-05-24 6039
36 1. 쌀겨 농법이란? 무익한 종 2003-05-16 5865
35 생태마을이 실현해야 할 과제 무익한 종 2003-05-07 4419
34 생태마을의 구성원리 무익한 종 2003-05-07 4893
33 귀농과 생태마을 만들기 무익한 종 2003-05-07 4651
32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생태계획 및 설계 무익한 종 2003-05-07 5046